경상남도/밀양시

밀양...표충사 승탑원(부도전)

임병기(선과) 2023. 1. 11. 13:37
728x90
728x90

표충사 승탑원

수충루에서 경내로 진입하지 않고 왼쪽 내원방 방향으로 100여 미터 전방에 있습니다.

 

오늘은

경내 참배가 아니라 효봉대사의 마애부도 사진을 찍으려고 들렸습니다.

 

표충사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2017

 

부도(1)

탑신석 외 여러 부재가 망실된 상태입니다.

 

부도(2)

당호를 새기지 않았습니다..

팔각원당형 부도, 옥개석 이상 망실

 

지대석. 필팔하대석, 팔각 중대석, 팔각상대석, 팔각 탑신석

중대석과 탑신석에 꽃이 곱게 피어있습니다.

 

탑신석.

 

상대석

앙련을 간략하게 새겼으며, 3단 굄을 조출

 

중대석, 하대석

 

부도(3)

태허당 탑. 18세기말 추정

사명당의 5대 법손으로 1742년 표충비를 건립한 태허당 남붕선사의 부도로 추정됩니다

표충사 영각에 영정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복련으로 장식한 대석 위에  당호를 새긴 길쪽한 종형 탑신석을 올렸으며, 상륜부는 결실된 상태입니다.

 

太虛堂

 

부도(4)

우운당 진희탑. 

임진왜란 후 통도사를 재건한 스님

석종형부도. 방형지대석, 상하대석은 앙련과 복련으로 장식하였습니다.

당호가 새겨진 탑신석과 보주는 한돌이며, 탑신석 상부에는 복련을 조식하였고, 1단 굄위에 보주를 올렸습니다.

 

우운당 진희(?~1694). 출처 통도사 성보박물관

"통도사의 역사를 기록해 놓은 '불종찰략사(佛宗刹略史)'에 따르면, 경기도 출신이라고만 되어 있을 뿐 언제 어떻게 통도사에 주석하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소요 태능(逍遙 太能, 1562~1649)의 문도로 알려져 있다. 우운당의 가장 큰 불사는 1641년(인조19년)에 임진왜란 때 전소된 대웅전을 현재의 모습으로 중건한 것이다.

통도사 대웅전을 중건한 우운스님은 대웅전 불사를 하고 남은 경비로 낙(落雲)스님과 함께 힘을 모아 1650년(효종1년)에 취운암을 창건하였으며, 여기서 그치지 않고 1652년(효종3년) 통도사 금강계단을 중수하였다. 통도사의 핵심인 금강계단 수리에는 우운당의 각별한 관심과 지도가 있었던 걸로 보이며 그가 지니고 있었던 계단(戒壇)에 대한 관심은 통도사 사리에서 분사리 된 대구 용연사 계단의 건립으로 이어졌다.

대웅전과 금강계단을 중수한 우운당이 착수한 다음 사은 불교목판의 판각과 간행이었다. 통도사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 사찰 가운데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곳이다. 따라서 계단의 중수에 이은 불경의 간행은 통도사의 정신을 복원하는 필연적 절차였다고 보인다. 하지만 18세기 몇 차례의 화재로 통도사 경판이 소실되어 우운당이 간행한 경판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우운당은 전란으로 없어진 법당 내의 불기들을 제작하였는데, 이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1674년(현종15년)에 제작된 은입사 향완이다. 이 향완은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은입사 향완 가운데 가장 크며 예술적으로도 아름다워 보물 제1354호로 지정되었다. 또 이듬해인 1675년(숙종1년) 통도사 대웅전의 건립과 계단의 복원, 또 석가여래 친착가사의 전래를 담은 '통도사사리가사사적약록'을 중간하였다. 이후의 행적은 현재 남아있는 문헌이나 금석문이 확인되지 않아 알 수는 없지만 더 많은 불사에 관여했다고 여겨진다.

통도사를 전성기 때의 모습으로 만들기 위해 평생을 진력한 우운대사가 1694년 입적한다. 통도사의 사부대중은 스님의 법구를 다비하여 정골사리(머리뼈사리)2과와 진신사리 9과를 얻었다. 이에 정골사리는 통도사에 모시고 진신사리 9과를 9곳으로 나누어 각각의 지역에 스님의 부도탑을 세우게 하였다. 우운당의 행적을 살펴보면, 대웅전과 금강계단의 중건→경전의 간행→법당 불기의 제작→통도사 사적약록의 완성까지 임진왜란 이후 폐허화 된 속에서 체계적이고 의도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진왜란 이후 우운당의 행적은 폐허가 된 무(無)에서 유(有)를 만드는 2번째 창건이었다고 정의 할 수 있다."(통도사 홈페이지)

 

통도사 부도전 逍遙門人友雲堂真熙大師碑 명문에 의하면  10곳 사찰에 사리가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逍遙門人友雲堂真熙大師碑. 1694년

頂骨二片舍利九枚州爭奉十寺分安

慶州 遠源寺. 星州 龍淵寺. 大丘 湧泉寺. 蔚山 雲興寺, 靑松寺. 東萊 梵魚寺. 密陽 靈井寺. 淸道 磧川寺. 慶山 慶興寺.此本寺骨奉安

康熙三十三年甲戌三月 日立

 

우운당 진희대사 부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550

 

지금까지

환적당 지경스님의 부도 8기가 가장 많은 분사리로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495

 

지대석, 기단부

 

友雲堂

 

보주

 

부도(5)

홍화당탑

우운당탑과 비슷한 유형으로 대좌 앙, 복련을 간략하게 새겼고, 보주가 뾰족합니다.

탑신석에 당호를 새겼습니다..

 

기단부

 

紅花堂

 

부도(6)

세심당탑

방형대좌. 기단부 복련, 종형 탑신석의 위패 속에 당호를 새겼습니다

탑신석 상부의 복련, 별석의 보주는 앙련으로 장식했습니다

 

기단부

 

洗心堂

 

상륜부

 

부도(7)

월암당탑. 1865년

표충사 서래각을 건립하였고, 1858년 조성한 표충사지장탱 화기에 증명 비구로 기록된 스님입니다

또한 탑비 비문을 통해 치아 사리 2과를 수습하여 부도를 세웠음을 알 수 있습니다.

 

종형 부도. 팔각 기단부는 다른 탑 부재 같습니다.

당호를 새긴 탑신석과 굄이 있는 보주는 일석입니다

 

기단부

 

月庵堂

 

상륜부

 

萬日會刱建主月庵堂塔碑.

<正面> 萬日會剏建主月庵堂塔碑 曾被夢記 自解化人 慈德無侶 當世希有  勤修誓願  爲衆忘軀 齒出二珠 光耀數霄

<背面> 同治四年乙丑六月日

 

부도(8)

팔각원당형 탑신석과 기단부는 별개 부도 같습니다

 

기단부

 

기단부

 

부도(8)

혜일대사 보감당 (慧日大師 普鑑堂). 1652년

조선후기 부도 중 빠른 시기에 해답되는 부도입니다.

 

지대석, 기단부. 방형 탑신석. 옥개석

기단부가 독특합니다

 

 

기단부

 

무슨 문양일까요?

 

慧日大師 普鑑堂

順治壬辰 十一月日立

 

옥개석

 

우리나라의 방형 부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479

 

경자갑보용비(庚子甲補用碑). 1640년

 

효봉대종사 사리탑. 탑비

1966년

 

마애부도입니다.

큰 바위 주변에 산골 후 상부 광배형의 별석에 당호를 새겼습니다.

효봉의 탑은 순천 송광사. 통영 미래사에도 탑비와 부도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曉峰大宗師舍利塔

효봉(1888년~1966년)

평양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26세에 귀국하여 한국 사람으로서는 최초로 판사가 되었다. 그러나 1923년 피고에게 사형 판결을 내리게 되자 심한 죄책감과 회의에 사로잡혀 판사직을 그만두었다. 1925년 금강산 신계사에서 석두(石頭)에게 계를 받고 38세에 출가했다. 1937년 이후 10년간 송광사에서 수행하고 많은 승려에게 정혜쌍수(定慧雙修)에 대한 구도관을 열어주었다. 1946년 종합수도원인 가야총림 방장으로 추대되었고, 이후 미래사를 창건했다. 1957년 조계종 종무원장과 종정 취임, 1962년 통합조계종단 초대 종정 추대 등 후학의 지도와 정화불사운동에 전념했다. 1966년 표충사 서래각에서 열반에 들었다.(다음 백과사전)

 

천진보탑비(天眞寶塔碑)

천진보탑은 탑처럼 생긴 자연바위를 뜻합니다

실제로 계룡산 갑사 신흥암에는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된 진신사리가 봉안된 천진보탑이 있으며,  천진보탑을 탑명으로 쓴 마애탑은 금산 개덕사 진산당 부도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마애부도에서 별도 탑비를 세운 사례는 2022년에 조성한 가평 백련사 관조당 부도와 효봉대종사 탑비에만 있습니다.

 

표충사 부도전

효봉대사 마애부도 사진 촬영 목적으로 들렸으나, 더 큰 배움을 얻었습니다.

즉, 자료 검색 중에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분사리는 환적당 지경스님의 8곳 사찰로 알고 있었으나, 우운당 진희 대사 부도가 10곳 사찰에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았습니다.

 

2022.12.16

 

*한문 표기는 '문화재청.(재)불교문화재연구소 발간, 한국의 사찰 문화재 자료집. 경남'편을 참조하였습니다.

728x90
728x90

'경상남도 > 밀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양...점필재 묘역 의호총  (0) 2022.05.22
밀양...표충사 내원암 88 야불  (0) 2022.05.20
밀양..의견고개  (0) 2021.02.01
밀양...조선 성종 왕녀 태실  (0) 2020.08.24
밀양...석골사 부도전  (0) 2019.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