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전
2012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1907
약사전 불단
약사전 불단(2012년)
가건물에 봉안되어있었습니다.
약사여래좌상
불두는 후보 한 느낌입니다.
변형우견편단, 약함을 지물로 들고 있으며, 파형의 대의자락이 무릎을 덮고 있습니다.
불신도 원형을 잃은 모습으로 조성시기는 불분명합니다.
보살상
보살상
석조지장보살좌상. 조선후기(?)
연화대좌, 불신, 광배가 일석입니다.
손이 크며, 오른발이 왼손을 덮었습니다.
연화대좌
삼층석탑
암반을 지대석으로 삼은 3층 석탑으로 고려시대 삼층석탑입니다.
기단부, 1~2층 옥개석, 2층 탑신석, 3층 탑신석만 남아 있습니다
본래 위치라면 고려 시대의 산천비보석탑으로 생각됩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25
기단부
중대석과 갑석이 일석입니다.
중대석에는 탱주 1주와 우주를 모각하였으며, 물매가 없는 갑석 하부에는 부연, 상부에는 2단 굄이 있습니다
탑신부
초층 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고, 높은 1단 굄을 조출하였습니다.
초층 옥개석 연화문 층급받침
우리나라의 층급받침에 연화문이 있는 석탑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23
2층 탑신석
우주가 모각되어 있습니다.
3층 옥개석 하부는 연화문 층급받침으로 장식하였습니다.
3층 탑신석
2층 옥개석과 한 돌이며, 우주를 모각하였고, 원형 사리공이 있습니다.
구고사 삼층석탑
암반 위에 세운 석탑
기단 중석과 갑석이 일석
연화문 층급받침
2층 옥개석과 3층 탑신석이 일석
3층 탑신석에 사리공 안치
여러 가지 특징이 있는 고려 중기 이전에 조성된 산천비보탑으로 추정됩니다.
33관음 영장. 일제강점기
10번이며, 하단의 시주자 이름은 훼손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일제강점기 88영장, 33 관음 영장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56
88영장
번호와 시주자 이름을 새기지 않은 유형의 영장으로 추정됩니다
무기리 승탑
무기리사지에서 반출되어 오랜 만행을 끝내고 1999년 구고사에 자리 잡았습니다
원형 하대석과 육각 중대석이 일석이며, 처음부터 상대석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사모지붕
조선 후기의 승탑
종형(구형) 탑신부에 사모지붕을 올렸습니다.
나 홀로 답사 때의
놓쳤거나, 인지하였다라도 기억나지 않은 특징...
여러 사람의 시선으로 바라보면 새로운 안목을 넓히는 계기가 됩니다.
2022.11.05
'경상남도 > 함안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안...주리사지 사사자 삼층석탑 外 (0) | 2022.12.06 |
---|---|
함안...함안박물관 야외전시장 석탑, 마애불 (0) | 2022.12.05 |
함안...무기리 주씨 고가. 무기연당 (0) | 2022.12.02 |
함안...무릉산 장춘사 (0) | 2022.12.01 |
함안...주세붕 묘역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