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충주시

충주...충강공 이상급 신도비

임병기(선과) 2020. 6. 25. 12:38
728x90

이상급 신도비

주덕읍 사락리 504번지

일반적인 신도비와 다르게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비신을 대리석으로 제작한 팔각 신도비입니다.

 

신도비

비문에 의하면 송시열이 찬하고 현손 이정상이 전액을, 이정복이 글씨를 썼습니다

"찬자(撰者)는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우의정 송시열(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宋時烈)’이며, ‘현손남 진사 정상전(玄孫男進士鋌相 篆)’이라는 글이 있고, ‘진사 정복(進士綎僕)’이 글씨를 썼다."

 

충강공 이상급(1571∼1637)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언(思彦), 호는 습재(習齋). 이유번(李有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석명(李碩明)이다. 아버지는 동몽교관(童蒙敎官) 이희선(李喜善)이며, 어머니는 정환(丁煥)의 딸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학문에 힘써 1605년(선조 39) 진사가 되고, 이듬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의 정자·저작·박사를 거쳐 형조좌랑 때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오던 중 평안도사가 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권신인 이이첨(李爾瞻)과 뜻이 맞지 않아 승진에 어려움이 많았다. 한때는 병을 빙자하여 벼슬을 그만둔 일도 있었으나, 다시 형조정랑을 거쳐 풍기군수가 되었다. 이때 경상도관찰사로 정조(鄭造)가 임명되자, 정조의 속관이 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벼슬을 버리고 고향 성주로 돌아가 농사와 낚시로 소일하였다. 인조반정 후 다시 등용되었으나, 장령·집의 등 대간으로 있을 때 직신(直臣)의 기품이 있어 싫어하는 자가 많았다. 단천군수와 연안군수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신망을 얻고 세자시강원의 보덕이 되었다. 이어 병조참지로 있을 때 치군(治軍)·축성(築城) 등 국가방위에 공헌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가 40여일 동안 대결하였다. 그러나 강화도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묘사(廟社)를 받들고, 강화도로 들어간 형 이상길(李尙吉)을 찾아가다가, 도중에서 적병을 만나 살해되었다. 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강(忠剛)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에 따라 출생 시기가 1,571년, 1,572년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적병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나 조선왕조실록에는 동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인조실록 34권, 인조 15년 2월 2일 임신 2번째기사 1637년 명 숭정(崇禎) 10년 제도(諸道)의 군사를 파(罷)하여 보냈다. 산성에 머물고 있던 백관이 경사(京師)로 돌아올 때에 길에서 적병으로부터 약탈을 당했는데, 병조 참지 이상급李尙伋이 길에서 얼어 죽었으므로 상이 염습(斂襲)하고 장사지낼 기구를 내리도록 명하였다.

 

충열각  忠烈閣

 

팔각 지복석. 팔각 대좌, 팔각 비신. 사각 이수

대좌와 비신이 일석 또는 비신과 이수가 일석이라는 자료가 있지만 현장에서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저석, 중석, 갑석이 일석인 팔각 중석의 각 면에는 2마리의 사자(?)와 연화문을 새기고, 갑석에는 복련을 표현하였습니다.

팔각 비신 위의 이수에는 두 마리 용이 사실적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대좌

대좌

대좌

대좌

복련

팔각비신

제액

증이조판서행병조참지이공신도비명(贈吏曹判書行兵曹參知李公神道碑銘)

 

유명조선국증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 의금부 춘추관 성균관사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세자좌빈객 오위도총부도총관 행통정대부 병조참지 이공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國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春秋館成均館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世子左賓客五衛都摠府都摠管行通正大夫兵曹參知李公神道碑銘幷書)

 

숭정무진후갑오월립(崇禎 戊辰 後 甲午 月 立)

일반적으로는 숭정후 무진(崇禎 後 戊辰)으로 기술하는데 이상급 신도비에는 후(後)를 끝에 표기하였습니다.

저는 이렇게 해석하고 1,688년에 세운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충주문화대전에는 1714년(숙종 40)에 신도비명을 받아 1716년(숙종 42)에 건립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수(전)

이수(후)

충강공 신도비

숭유억불의 조선시대에 불교 조형물에 주로 적용되는 팔각의 대좌, 비신. 연화문. 사자좌가 새겨진 유일무이한 신도비 같습니다.

신도비 향  1시  방향 뒤편에는 묘소와 재실이 있습니다.

 

2020.06.19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