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사. 제주시 회천동 2390-3
화천사 창건기...디지털제주문화대전
석불단의 오석불五石佛 .화천사 후원에 위치
오석불은 사찰이 폐사된 후 민초들이 조성하였다고 전한다. 화천사에서는 매년 정월 석불단 오석불 앞에서 마을제를 지내고 있다. 마을제를 석불제라고도 하며, 제의는 유교제 형식의 마을제이나 과정은 불교 의식이라고 한다. 즉, 내소사 경내에서 올리는 동제처럼 불교와 민속이 습합된 마을 공동체 신앙으로 생각된다.
석불은 현무암으로 상반신만 조성한 좌상이다. 자연스럽게 이목구비를 새기고 다양한 표정의 상을 조성하였다. 코가 큰 상은 마치 이스터 섬의 석상 분위기이며.따뜻하고 친근하게 다가온다. 오석불 좌우에 산신과 용신으로 모시는 자연석이 있다.
석불(1)
석불(2)
석불(3)
석불(4)
석불(5)
동회천 석불제...디지털제주문화대전에서 발췌
마을제는 유교식 포제로 지내는데 사찰 경내에 있는 관계로 명칭을 동회 석불제라 하였으며, 석불제는 엄격하기로 유명하여 아직까지도 제관 이외에는 아무도 석불제에 참석할 수 없다.석불제는 정월 첫 정일(丁日)에 봉행하며 떡과 과일을 올린다. 돼지고기를 희생으로 쓰지 않는 점인데, 이는 통돼지를 제물로 쓰는 다른 마을의 유교식 포제와 구분되는 점으로 불교적 색채가 짙게 나타난다.다른 마을의 포제와 또 다른 점은 제를 지내기 전 석불에 송낙(지의류의 한 종류인 송라를 우산 모양으로 엮어 만든 모자)을 씌운 뒤 종이옷을 입히고 허리에는 실을 매어 신상을 정결하게 치장하는 것인데, 그만큼 석불제에 정성을 드리는 것이다.
고려시대 사찰 폐사 이후 조성하였다고 전하지만, 조선후기 이후 조성된 마을 미륵으로 추정된다. 편년. 그게 뭐 중요한가? 마을의 안녕과 벽사, 풍어, 기자를 기원하는 민초들에게는 영원한 미륵일진데.
2018.02.02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애월 연대 (0) | 2018.02.19 |
---|---|
제주...수정사지 다층청석탑재 (0) | 2018.02.19 |
제주...불탑사 오층석탑 (0) | 2018.02.18 |
제주...선운정사 석조약사여래좌상 (0) | 2018.02.18 |
제주 여행 (0) | 201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