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울주군

울산...연지사 석등.부도

임병기(선과) 2016. 10. 7. 07:36
300x250
300x250

 

 

연지사.

울주군 웅촌면 곡천검단로 112-20

창건에 대한 사적은 전하지 않으나, 100여 년 전 작은 암자로 시작되었다고 홈페이지에 실려 있다.

 

 

경주 경유 부산으로 이동하는 동선에서 미답처 검색중에 연지사에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칠성탱이 있다는 것을 알고, 홈페이지에 들렸더니 뜻밖에도 부도 사진이 보였다.

 

不期而會 불기이회

뜻하지 아니한 때에 우연偶然히 서로 만남을 이른다.

 

부도

그리고 

꿈에도 생각 못했던 석등

사람과의 만남이 아니더라도 이렇게 또 인연을 지었다.

좋은 일은 계속되지 않는다고 했던가? 본래 목적이었던 산신탱은 까마득히 잊고 돌아왔으니...

 

 

석등

전형적인 팔각원당형 석등이다.

 

방형지대석과 하대석은 일석으로 복련과 간엽을 새겼다.상부에는 2단 괴임과 간주공이 있다.

간주석은 팔각원당형이며

상대석에는 앙련을 조식하였다. 상부에는 2간괴임을 두어 화사석을 받치고 있다.

 

팔각화사석에는 4개 화창이 있으며

팔각 옥개석은 상부에 복련을 새겼고 상륜에는 보주가 있다.

 

안태고향은 확인하지 못했지만 조성시기는 고려초기 아닐까?

 

 

 

 

 

 

 

 

 

홈페이지 대문을 장식한 부도

일견 조선후기의 부도로 보이지만 기단부의 문양이 걸린다.

동행한 달넘새님은 중대석의 화문으로 미루어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부도라고 추측했다.

 

기단부와, 탑신 이상의 부재가 동일 부재일까?

 

 

 

 

 

 

 

 

부도와 석등에 빠져 인연 짓지 못한 칠성탱.

 

연지사 칠성탱...글.사진출처/문화재청

 

연지사 소장 칠성도는 면 바탕에 채색을 베푼 작품으로, 세로 96.3㎝, 가로 234㎝ 크기의 가로 폭이 넓은 중대형급 불화이다. 작품 중앙에는 치성광여래를 그 양쪽으로는 7위의 칠원성군을 배치하였는데, 칠원성군을 전면으로 부각시킨 구도가 특징적이다. 구름을 경계로 치성광여래 좌우 뒤쪽에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그 뒤편 양쪽으로 7위의 칠성여래를 배치하였다. 화면 상단의 구름사이로 보이는 천공에는 각종 별자리가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인 화면의 채색은 주색, 녹청, 군청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 황색, 양청, 백색, 금박 등을 활용하였다. 특히 금박은 칠원성군 관모의 금구장식과 각대 등 금속 제품에 부분적으로 표현되었으며, 패수의 구슬장식은 돋을 기법을 사용하여 양감을 나타내었다.
해당 작품은 도상들의 표현기법이나 설채법 등의 경우 19세기 말기 양식을 이어받고 있다. 그리고 도상의 구성과 구도 및 화면의 형식은 19세기 말 ~ 20세기 전반에 이르는 가로 폭이 넓은 근대 불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당대의 시기성이 반영된 불화라고 할 수 있다.

화기에 의하면 1901년(광무 5년)에 수화승 천호(天晧)를 비롯한 만총(万聰), 경안(敬安), 덕원(德元)에 의해 제작되었음이 확인된다. 특히 만총은 수화승 보응문성과 함께 대둔산 석천사 <아미타불회도>(1893년) 제작을 비롯하여, 수화승 금효약효와 전북 진안 천황사 대웅전 <삼세후불도>(1893년), 공주 갑사 대자암 <십육성중도>(1895년)를 제작하였다. 경안 역시 수화승 보응문성과 함께 고창 선운사 <아미타후불도>(1901년) 제작에 참여한 바 있다.

연지사 소장 칠성도는 현재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며, 제작시기와 제작자가 분명한 불화이다. 특히 19세기 말 ~ 20세기 금호당 약효와 문성 일파의 불화를 계승하는 작품으로 조선 말 ~ 근대기의 칠성도 연구에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때로는

예상치 못한 님을 뵌 경우가 종종 있다.

그 또한

답사의 매력일 것이다.

 

우리님들의 미답사목록에 챙겨 두기를 빌면서...

 

2016.09.21

 

300x250
300x250

'울산광역시 > 울주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주...서생포 왜성  (0) 2017.11.21
울주...보덕사 석조관음보살좌상  (0) 2017.11.20
울산...청송사지  (0) 2016.02.01
울산...망해사지  (0) 2016.01.30
울산...석보암 석불좌상  (0) 2016.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