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 입구 성보 박물관. 희랑대사상이 보고 싶어 들어 갔다. 이상하게도 각 사찰의 성보박물관은 잘 들어가지 않는다. 괘불탱화를 보기위해 몇몇 절집을 들린 기억 밖에 없다. 사진도 몇장 도촬했지만 엉망이라 삭제하고 몇 장만 올린다. 성보박물관 연혁을 살펴보자.
1488년부터 현재의 응진전(應眞殿) 자리에 해행당(解行堂)을 짓고 역대고승(歷代高僧)의 진영(眞影)을 봉안(奉安)해 오다가, 1918년에 이르러 진영은 조사전(祖師殿)으로 이안(移安)하였다가, 1968년부터 해인총림이 설치됨에 따라 진영은 모두 경학원(經學院)으로 이안하였다. 그후 경학원을 해인사 도서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진영 및 성보유물을 현 구광루 2층에 옮겨 임시박물관으로 사용하였다. 1989년에 현 방장스님 주지시에 구광루 증.개축 보수공사로 인해 다시 선열당(禪悅堂)으로 옮겨졌다.
1995년 2월 11일 본사 임회의 결의를 받아 현 금선암 뒤쪽 공터(현 주차장)가 해인사 성보박물관 건립 부지로 선정되고, 1995년 5월 13일 임회에서 박물관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997년 보광스님께서 본사 제22세대 주지로 취임하시면서 현 해인사 성보박물관 자리에 연 건축면적 3578㎡(1082평), 지하 1층, 지상2층 철근콘크리트형으로 공사를 진행하였다. 2000년 세민스님이 주지로 취임하시면서 현 해인사 성보박물관을 완공하고, 2002년 7월 5일에 개관하였다.
당간지주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이다. 해인사에 있는 이 불화는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고, 길이 334㎝, 폭 240㎝이다.
해인사 조사였던 고려시대 희랑대사의 진영상(眞影像)으로 경상남도 합천의 해인사에 모셔져 있다. 고려 건국 당시 해인사 승려들은 견훤을 지지하는 남악파(南岳派)와 왕건을 지지하는 북악파(北岳派)로 나뉘어 있었는데 희랑은 북악파의 종주(宗主)였다. 이 상은 화엄종 북악파의 진면목을 적절하게 묘사하여 화엄종의 진리를 무언(無言)의 형상을 통해서 지금까지 끊임없이 설법하고 있는 우리나라 초상의 최고 걸작이다.
전세조대왕진영(傳世祖大王眞影)은 1458년 중추원 윤사로(尹師路)와 승정원 도승지 조석문(曺錫文) 등이 세조 임금의 영정을 조성하여 해인사 금구전(金口殿)에 봉안한 것인데, 현상으로 봐 후에 이모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진영은 조선전기에 해인사가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입증하는 자료이다.
목조사자상. 업경대와 저울을 받치고 있다.
청동금강저. 조선 인조 시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청동의 재료로 주조한 고려시대 작품으로 총 높이는 30.2㎝, 구경은 21.8㎝이다. 용뉴와 입상화문대, 상대, 유곽, 당좌, 하대를 갖추고 있다. 용뉴의 용은 종속으로 들어가는 독특한 모습이며 음통은 죽절형(竹節形)으로 끝부분은 화문이 표현되어 있다. 상대에는 연화문이 있고 상대 아래에 4개의 유곽이 있는데 유곽대는 운문이며 그 안에 9개의 유두가 있다.
당좌는 유곽 사이에 모두 4개가 표현되어 있다. 종신의 일부가 깨져나갔고 그 옆으로 균열이 있다. 하대의 당좌 사이에는 점각(點刻)으로 ‘해인사(海印寺) 상소이암(上蘇利庵)’이라는 명문이 있다. 현재 해인사 성보박물관에 소장 전시 중에 있다.
해인사 동종
꼭대기에는 사실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두마리의 용이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 역할을 하고 있고, 어깨부분에는 연꽃을 새겼다. 밑으로는 돌출된 9개의 유두가 사각형모양의 유곽안에 있으며, 유곽 사이사이에는 보살상이 있다. 종 중앙에는 3줄의 굵은 가로줄을 돌리고 그 위쪽에는 꽃무늬를, 아래로는 용무늬를 새겨 종 전체가 무늬로 가득 차 매우 화사한 느낌을 주고 있다. 아랫부분에는 다시 2줄의 가로줄을 돌리고, 윗쪽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괘를, 아랫쪽에는 아무런 무늬를 새기지 않았다.
청동은입사 정병
우측 은입사정형鼎型향로. 가야산해인사중수전말기에 의하면 인수.인혜대비가 1490년 동 천오백근과 납 삼백근으로 불기와 법물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당시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나반존자상
지장보살상
불연 2011.06.05 |
'경상남도 > 합천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해인사 원당암 다층탑 (0) | 2011.07.18 |
---|---|
합천...가야산 해인사 (0) | 2011.07.17 |
합천...영암사지 적연선사부도 (0) | 2011.07.13 |
합천...중촌리 부도전 (0) | 2011.07.12 |
합천...압곡리 석불입상 (0) | 2011.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