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도서관. 그곳에 석탑이 있었다. 예전 답사길에 보았던 기억이 없다. 아마 이후에 옮겨온 듯하다. 찾는 사람 없는 외로운 들판, 폐사지 보다는 차라리 도서관을 방문하는 내방객 특히 청소년들의 친구로 남는 편이 좋을 것 같다. 공부도 하고 휴식을 즐기면서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북돋우고 관심을 유발 시킨다면 산 교육 아니겠는가?
영주 가흥동 오층석탑. 사지나 사적이 알려지지 않은 가흥동 들판에 있던 것을 1961년 수해 복구시 면사무소를 거쳐 영주소방서 경내에서 현재 도서관에 자리하고 있다. 지대석과 기단은 시멘트로 복원했고 상륜도 보이지 않으며 탑신과 옥개석만 남아 있다.
옥개받침은 1.2층 4단, 3층 5단, 4.5층 3단으로 일정하지 층급으로 판단해도 최소 2기 이상 석탑의 조합으로 생각된다.
3, 5층의 옥신석은 각면에 안상속에 귀꽃이 피었다.
옥신석은 1, 2, 4층과 3, 5층이 각각 다른 탑의 부재로 판단되며 옥신과 옥개를 한 돌에 새겼다. 규모가 작은 탑이면서도 세부 표현은 비교적 정교한 편으로 기법이나 규모로 보아 고려시대에 조성되었을 것이라 전해온다.
석탚옆 보호각에 봉안된 영주동 석불입상 답사기는 옛님의 숨결방에 예전에 올렸기에 문화재청 자료로 대신한다.
광배와 상이 하나의 돌에 조각된 거의 완전한 형태의 보살상으로, 원래는 시내의 절터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굵은 목에 넓고 둥근 어깨는 힘차고 당당한 모습이며, 이러한 경향은 굵은 팔, 다리 및 투박한 손발 등 신체의 각 부분에까지 공통적으로 드러나 전체적으로 박력있는 남성의 체구를 연상시킨다.
넓적한 사각형의 얼굴, 특히 두꺼운 입술의 표현은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보물 제221호), 영주 석교리 석불상(보물 제116호) 등과 유사한 것으로 지역적인 공통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보살이 걸치고 있는 옷의 표현 중 특징적인 것은 왼쪽 겨드랑이에 표현된 매듭이다. 이 매듭에서 내려오는 옷자락은 지그재그형을 그리며 팔 위에 걸쳐있다. 이런 표현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약사여래입상(보물 제328호)에서 볼 수 있을 뿐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예이다.
2009.06.28 |
'경상북도 > 영주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풍기 영전사 (0) | 2009.08.03 |
---|---|
영주...휴천동 마애불좌상 (0) | 2009.08.02 |
영주...영주 포교당 (0) | 2009.07.31 |
영주...상망동 석불좌상 (0) | 2009.07.30 |
영주...신암리 마애 삼존불 (0) | 2009.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