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가창수원지를 벗삼아 청도로 향하는 길은 늘 한가롭다. 이따금 전원주택과 허브농원 전통찻집이 차창을 스쳐간다. 지난 하반기 문화재청 답사기에 공모하여 상을 받았던 정대 조길방 가옥도 이 길위에 비켜 앉아 있다. 계속 달려 헐티재를 넘어가면 비슬산 동쪽 우측 기슭에 용천사가 자리하고 있다.
시인 이성복은 이 길위에서 "호랑가시 나무의 기억"을 노래했지만 다가오지 않은 느낌이 서글플 뿐이다.
1 "용천사(湧泉寺)는 신라 문무왕 10년(670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해동화엄전교(海東華嚴傳敎)의 10대 사찰 중 한 곳이다. 화엄 십찰은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수행하고 돌아와 세운 사찰인데 최치원(崔治遠)이 쓴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과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史)』에 절 이름이 나온다.
법장화상전』에 의하면 태백산 부석사(浮石寺), 원주 비마라사(毘摩羅寺), 가야산 해인사(海印寺), 비슬산 옥천사(玉泉寺), 금정산 범어사(梵魚寺), 지리산 화엄사(華嚴寺), 팔공산 미리사(美理寺), 계룡산 갑사(甲寺), 웅주 가야협 보원사(普願寺), 삼각산 청담사(靑潭寺) 10개 사찰을 말한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이중 부석사와 비마라사·해인사·옥천사·범어사·화엄사 6개 사찰만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 사찰은 의상대사가 전파한 화엄사상을 널리 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불교 전성기에는 승려가 천여 명이나 되었고 주변에 자리잡고 있던 암자들은 백련암, 청련암, 일련암, 남암, 서암, 내원암, 부도암 외 47개의 암자가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오랜 세월 속에 모두 없어져버렸다. 이미 24명의 도인이 나왔고 앞으로 104명의 도인이 나올 것이라는 설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 중 3중창(1631년) 때의 것은 문화재로 지정된 대웅전만 남아 있고 다른 건물은 근대에 세워진 것이다.
고려 원종 8년(1267년) 일연 선사가 중창하여 불일사(佛日寺)라 칭하였다가 다시 용천사로 고치고, 임진왜란 후 인조 9년(1631년) 조영대사(租英大師)가 3중창하였으며 순조 5년(1805년) 의열 화주가 크게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 절집에 물 맛 없는 곳은 없겠지만 용천사 석간수는 더욱 명성이 자자한 모양이다. 사시사철 끊임없이 용솟음쳐 흘러내리고 있어 용천(湧泉)이라 부쳐진 것이며 사찰이름도 여기가 유래가 되었다.
정갈한 대웅전 중정. 발자국 하나 남겨지지 않아 발걸음이 무거웠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응진전 명부전 요사가 ㄷ형이다.
용천사의 긴 사적을 고스란히 품은 옛님들이 나란히 서있다. 오와 열을 맞추려는 군대식 집합이 아닐진데 넓은 중정 어울리는 자리에 이건하였으면 좋겠다.
석탑은 상층 기단, 탑신 1개, 옥개석 2개만 남아 있다. 신라계의 많이 약화된 고려탑으로 보인다.
청수대? 저는 청수대로 생각했습니다. 강원도 홍천 수타사의 청수대와 닮지 않았나요? 하지만 많은 자료에는 팔각원당형 석등의 간주석이라 고 했다. 다른 설로는 하기단이 비석 귀부처럼 거북이로 조성되었고 정확히 판독되지 않은 한자로 인해 비석 몸돌로 이해하기도 한다. 여러분은 어떻게 보세요?
가운데 홈이 파진 괘불대, 야간 집회시 관솔불을 밝혔을 노주석이 있다. 그 외에도 용천 아래와 요사 옆에 큰 석조가 있어 많은 대중이 주석했음을알 수 있다.
대웅전 정.측면 3칸의 다포계 맞배지붕으로 17~18세기에 건축물로 알려져 있다. 고식 기단, 덤벙주초 창살은 빗살문이며. 겹처마이다.
들어 열개문을 거는 들쇠와 풍경이 어울렸다.
용천사 대웅전에도 숨은 사연이 있는 듯 아미타 삼존을 모셨다.
연꽃이 만개한 응진전 측면
장인의 마음이 느껴진다.
많은 참배객에게 회자되는 용천사의 조선시대 석종형 부도. 사찰에서 찾지 말고 큰길로 나와 각북방향 100M 우측의 ***모텔 대형 입간판(이름이 기억 나지 않는다)을 끼고 승용차로 올라가면 쉽고 주차공간도 있다.
용천사의 부도는 당당하고 대형이면서도 싱겁지 않고 속이 꽉찬 느낌이다. 17세기~18세기 용천사 중창이 이루어질 당시 여러 고승들의 사리를 모신것으로 추정한다. 자연석 기단 위에 연화좌를 올리고 몸돌을 화강암으로 만들었다. 상륜부는 보륜, 보개, 보주 등을 양각하였고 탑신 상하대에는 연꽃 문양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중앙 '사송당 최백 대사(四松堂最栢大師)', 좌측'우운당 진희 대사(友雲堂眞熙大士)', 우측'청심당□□대사(淸心堂□□大士)' 부도, 뒷쪽 좌측 대허대사. 우측 회진대사 부도
백련당 대사 부도
각북 방향 첫 주유소 옆 공터 '용천사동하도로수치유공표석(湧泉寺洞下道路修治有功表石)'
용천사 부도 답사후 각북 봉기리 탑을 만나려 가는 발걸음이면 각북 방향 첫 주유소 옆 공터 컨테이너로 감금된 비석을 찾길 바란다.
"1725년(영조 1)에 세운 것이다. 내용은 도로가 비좁고 험하여 사람뿐만 아니라 우마(牛馬)도 다니기 힘들었으므로 용천사의 스님들이 시주를 모으고 힘을 합하여 도로를 넓히고 평평하게 닦았다는 내용이다.
경내에 있는 것을 일부로 이 자리에 옮기기는 어려웠을 것이며, 본래부터 이 자리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조선시대의 용천사 사역이 지금보다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컸으며, 사적기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수많은 전각이 실제로 들어섰을 만큼 넓었음이 바로 이 비석으로 증명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도로라는 것은 사찰뿐만 아니라 인근의 마을이나 타지방에서 여행하는 사람들도 사용하는 것이므로 애써 도로를 닦은 것을 기념하고 알리기 위하여 일부러 사찰에서 제법 떨어진 이곳까지 와서 세웠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어떤 그리움...원성 스님
'보고 싶다' 진실로 그렇게 마음 깊이 가슴 싸 하게 느껴 본 적 있으신지요.
아마 없으시겠지요. 앞으로도 없으시겠지요.
하늘을 보고 허공을 보다가 누군가가 보고 싶어 그냥 굵은 눈물 방울이 땅바닥으로 뚝, 뚝 떨어져 본 적이 있으신지요.
없으시겠지요. 없으실거예요.
언제까지나 없으시길 바래요. 그건 너무나, 너무나....
2009.01.06
|
'경상북도 > 청도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덕촌리 석조여래 입상 (0) | 2012.06.03 |
---|---|
2012 상춘곡嘗春曲 그리고 추억追憶 (0) | 2012.05.03 |
[스크랩] 청도...신둔사. 마애부도 (0) | 2008.06.07 |
[스크랩] 청도...대산사. 맷돼지 지대석 탑 (0) | 2008.06.07 |
[스크랩] 청도 / 떡절(덕사)...달아나는 개에게 떡을 물려라 (0) | 2008.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