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천수사 삼층석탑

임병기(선과) 2025. 2. 19. 07:23
300x250
300x250

천수사 삼층석탑

2층기단의 삼층 석탑으로 상륜부는 노반석만 남아 있습니다.

1912년.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과 천수사 삼층석탑(사진. 원주 투데이)
일제강점기인 1916(1915년?)년 경복궁으로 반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습니다. 영전사로 알려졌지만 영천사 오기로 밝혀졌으며, 천수사 삼층석탑도 영천사에서 이건한 탑으로 전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도판

노반 위 보주가 남아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현재 석탑과 차이가 없습니다.

지대석

여러 점으로 결구

하층기단

저석, 중석은 1석, 엇물림 결구. 갑석은 2 매석, 물매가 없고 2단 받침 조출

상층기단

감입식 결구. 우주, 탱주 1주 모각, 부연이 깊고, 상부 2단 굄조출

탑신석

전층 우주, 1.2층 별석 탑신받침

옥개석

평박, 상, 하처마선 전각 반전, 4단 층급받침. 절수구 생략. 1단 탑신굄.

상륜부에는 노반석만 유존합니다.

기단부

지대석. 하층기단. 상층기단

탑신부. 상륜부

천수사 삼층석탑

신라탑에 비해 기단 갑석, 옥개석이 얇고 낙수면 물매가 미미하여 백제계열 석탑 느낌입니다.. 초층 탑신석과 2층 탑신석 하부에 별석 괴임이 있는 고려 중기 이전에 조성된 석탑으로 추정합니다. 환지본처는 늦어지더라도 우선 본래 이름이라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2025.01.18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