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서울...국립중앙박물관 고달사 쌍사자 석등

임병기(선과) 2025. 2. 18. 13:56
300x250
300x250

고달사 쌍사자 석등. 보물
경기 여주 고달사지에서 반출되어 1959년 경복궁을 거쳐 이곳으로 옮겨왔습니다. 높이가 거의 3미터(2.43)에 이르며 2000년 발굴 조사에서 옥개석이 추가로 발굴되어 복원하였습니다. 현장 안내문에는 고달사(高達寺)가 우리나라 3대 선원의 하난인 고달원(高達院)으로 명성을 떨치던 고려초기의 작품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주 고달사지는 2019년 마지막으로 답사하였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6311

 

여주...혜목산 고달사지

서문재 석탑부재, 박물관 부도 뵈러 가는 길 오랫만에 다시 찾았지만 귀가 시간에 쫒기어 사진 몇 장으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사적 제382호. 전신은 봉황암으로서 764년(경덕왕 23) 창건되었다고

12977705.tistory.com

 

지대석
방형지대석은 후보
 
하대석
저석, 중석, 갑석이 1석이며 2 매석으로 결구. 중석에 2기 안상을 새겼습니다.
중대석(간주석)
중대석 하단석에는 두 마리 사자, 상단석은 부등변 팔각의 고복형으로 보상화문(?)을  새겼습니다.
상대석
팔각으로 2단 받침을 두고 앙련을 조식했습니다.

기단부
중대석, 상대석

중대석 하단석의 사자. 정면

 

두 마리 사자상은 중대석(간주석)받침인지. 

중대석(간주석) 하단석인지.

측면

뒷면

중대석 상단석

보상화문 맞나요?

상대석 상부 1단 팔각 화사석 받침
부등변 팔각 화사석과 4개 화창
옥개석
내림마루 끝에 귀꽃 조식, 상부 복련, 2단 상륜부 받침이 있고. 하부 음각 추녀, 3단 옥개 받침을 마련했습니다. 상륜부는 망실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쌍사자석등은 속리산  법주사.  합천  영암사지. 국립광주박물관  광양 중흥산성석등이  남아 있지만 모두 입상으로  화사석을 받치고  있습니다. 즉 앉은 상태의 쌍사자는 고달사  석등이  유일합니다.

2025.01.18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