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부산시

부산...정공단(鄭公壇) 충노 용월비. 열녀 애향비

임병기(선과) 2024. 5. 13. 06:26
300x250
300x250

정공단 외삼문

내삼문

정공단

1592년 임진왜란 당시 부산진성을 지키며 군민과 함께 일본군과 싸우다 성과 운명을 같이한 부산첨사 정발(鄭撥)과 그를 따라 순절한 군민들의 충절을 기리는 제단이다. 단의 중앙에는 ‘정공단(鄭公壇)’이라고 새긴 비를 세우고, 서쪽에는 정발의 막료였던 이정헌(李庭憲), 동쪽에는 정발의 첩인 애향(愛香), 남쪽에는 군민들을 모셨으며, 남쪽 층계 밑에는 충직한 노복이었던 용월(龍月)의 단이 마련되어 있다. 1766년 부산첨사 이광국이 이들이 순절한 장소인 부산진성의 옛터에 이 제단을 만들었다.(다음 백과사전)

충장군 정발 장군비.1766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17839&cid=55777&categoryId=56135

증 좌승지 이공정헌비. 1749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17893&cid=55777&categoryId=56135

전망제공비

부산진 전투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기리는 비

청발의 첩 애향비. 1948년

비를 세운 주체는 전하지 않습니다.

 

애향(愛香.?~1592)

임진왜란 때 부산진성을 지키다 순절한 부산진 첨사 정발(鄭撥)의 애첩으로 정발과 함께 순절하였다. 고 합니다.

 

기생 무덤.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72

충복 용월비

정발의 노비. 부산진성 전투에서 전사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충노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63

충장공 정발 전망비 외 비석군

충장공 정발 전망비. 1761년

https://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2

이수 전면 운용문

이수 후면. 무슨 문양(?)

첨사 홍태두 영세불망비. 1766년

병술 6월 삼진(三鎭)의 장사(將士)들이 세움

첨사 조세망 청덕선정비. 정유 4월 일

감역 신지관. 유세휘. 김익중

 

조세망(1662~1725)

숙종실록(肅宗實錄) 1710년(숙종 36) 윤7월 26일 기록에 부산 첨사 조세망을 파직한 기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선정비를 건립한 정유년(丁酉年)은 1717년(숙종 43)으로 추정된다.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에는 1717년으로 기록했지만 1710년에 파직당했다면 의문이 듭니다.

경찰관 박기종 영세불망비.

박기종(1839~1907)은 1839년(헌종 5) 다대 첨사(多大僉使)를 지냈고, 이듬해 절영 첨사(絶影僉使) 겸 부산 경무관(釜山警務官)을 역임하였다. 1893년 9월 순사청(巡査廳)에서 세웠다.

첨사 안광찬 영세불망비. 1819년

안광찬은 1828년(순조 28) 10월에서 1830년(순조 30) 10월까지 경상 좌수영의 수사로 재직하였으며, 수영 사직공원에 영세불망비가 있습니다.

첨사 박기종 영세 송덕비. 을미년 3월(1895년)

교리 군민이 세움

 

박기종

https://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01995

수상국 장인식(1802~) 영세불망비. 

1857년(철종 8) 7월 개운진 군졸들이 세움

 

비의 앞면에는 ‘수상국 장공인식 영세불망비(水相國張公寅植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변방을 구휼하여 방비를 고르게 하였고/ 강한 자 누르고 약한 자 부축하였으니/ 은혜는 산처럼 무거워라. 그 덕을 돌에 새겨 오래도록 남긴다 [恤邊調防 茹强扶弱 恩重如山 悳壽于石]”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정사 칠월 일 개운진 졸 립. 감역 박중형, 색 김정순[丁巳 七月 日 開雲鎭卒 立 監役 朴重亨 色 金井洵]”이라고 되어 있다.

첨사 조광렬... 불망비

첨사 이원룡 영세불망비. 1844년

첨사 홍이징(1667~) 애졸선정비

 

愛卒?

군사들을 사랑했다는 의미인가요?

첨사 노흡선정거사비

1730년(영조 6) 부산 첨사로 부임한 노흡의 공덕을 기려 세웠다. 비문의 □자년으로 미루어 1730년과 가까운 연대인 임자년, 즉 1732년(영조 8)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2024.03.28

 

**비석 설명문은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을 참고했습니다.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