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대구시

대구...낙동서원. 의마비

임병기(선과) 2022. 2. 23. 10:32
728x90

낙동서원

달서구 송현로7길 32 (상인동)

1708년(숙종 34)에 단양우씨의 현조인 우현보(禹玄寶)와 임진왜란 때 의병장 우배선(禹拜善)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1965년 단양우씨 판서공파 17대손인 우종식, 우종묵 형제가 사비로 다시 건립하여 낙동서원(洛東書院)으로 명칭을 변경한 후 향내 유림에 헌납하였다. 현재는 우현보와 우배선 외에 우탁(禹倬), 신현(申賢), 우길생(禹吉生)을 함께 모시고 있다. 그 중 우탁은 본래 예안의 역동서원에서 향사하였으나 역동서원이 1871년(고종 8)에 훼철되자 낙동서원에서 다시 모신 것이다."(다음 백과)

 

우현보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0183

 

우배선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9898

 

우탁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16a3682a

 

고교 교과서에 실렸던 탄로가는 우탁 선생의 작품입니다.

 

탄로가(嘆老歌)...역동 우탁


일수장집우일수형극악 (一手杖執又一手荊棘握)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를 거머쥐고
노도형극방래백발장타 (老道荊棘防來白髮杖打)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자선지근래도 (白髮自先知近來道)            백발이 자기가 먼저 알고, 지름길로 달려오더라.

 

우길생(禹吉生)

생졸년 미상. 본관은 단양(丹陽).
역동(易東) 우탁(禹倬, 1263∼1342)의 계자(系子)이다. 문과(文科) 출신(出身)으로 고려(高麗) 공민왕 신축년(1361)에 홍건적(紅巾賊)의 난(亂)이 일어나자 안유(安裕) 등과 함께 홍건적(紅巾賊)을 물리치고 경성(京城)을 수복(收復)하는 데 일조(一助)하여 관직(官職)이 3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다. 계묘년(癸卯年)(1363)에는 2등(等) 공신(功臣)으로 책록(冊錄)되었다. 적성군(赤城君)에 봉(封)하여졌다. 우길생의 장자(長子)는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제수(除授)된 우현보(禹玄寶)이다. 낙동서원(洛東書院)에 향사(享祀)되었다.(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신현(申賢)

1298년(고려 충렬왕 24)∼1377년(고려 우왕 32). 본관은 평산(平山), 어렸을 때 이름은 몽월(夢月)이다. 자는신경(申敬), 호는 불훤재(不諼齋),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의 12세손이다.
어려서부터 역동(易東) 우탁(禹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충숙왕(忠肅王) 2년(1315) 을묘(乙卯) 성균시(成均試)에서 장원급제하였다. 특히 역동에게서 역학(易學)을 배우고 선생의 업적을 첨삭‧교정하는 등 정리했는데 거의 소실하고 『화해사전(華海師全)』만이 남아있다. 신현(申賢) 문하에는 포은 정몽주, 야은(冶隱) 길재, 운곡 원천석, 아들 간재(簡齋) 신용의(申用義) 등이 있다.

충숙왕(忠肅王) 때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원(元)나라에 가서 주공천(朱公遷)‧허겸(許謙)‧전당(錢唐) 등과 종유하며 학문에 더욱 전념하여 대학자가 되었다. 그 뒤로도 여러 번 원에 초빙되어 명제(明帝)가 사례(師禮)로 대하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號)를 내렸다. 시호는문정(文貞)이다.(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진덕문

외삼문으로 솟을대문입니다.

 

전당후묘의 전형적 배치이며, 사당이 뒤편 동쪽으로 치우쳐 자리합니다.

외삼문인 진덕문 안쪽에는 서원 배치에서 거의 유례가 없는 ㄱ자(字) 형 건물이 있습니다. 전면은 강학 공간 정교당(正敎堂)으로 낙동서원(洛東書院)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돌출된 누마루 옆으로 이어진 방에는 동재 처인헌(處仁軒)과 서재 지경재(持敬齋)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당 앞 좌우에 위치한 조선시대 서원의 동, 서재와 달리 특이한 구성입니다.

 

아쉽게도 문이 닫혀 현판을 직접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백승각(百承閣)

단양 우씨 집안에 내려오는 도서, 목판 경전, 또는 시집 등을 보관하는 장서각 같습니다

 

통정문(通正門)

협문입니다

 

숙청문(肅淸門)

사당의 내삼문입니다.

 

 

계현사(啓賢祠)

낙동서원의 묘, 강당보다 동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강학공간 정교당(正敎堂) 보다 뒤쪽 높은 곳에 자리하여  위계를 지켰습니다.

 

의병장 월곡 우배선 창의 유적비

의마비

 

의병장 우배선 창의 유적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9XX21200189

 

의마비(義馬碑)

우배선 장군의 애마이었던 말의 비석

 

우배선 장군이 조련한 말이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장군과 생사고락을 같이 하며 전장을 누비었습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1622년 우배선이 세상을 떠자 말도 슬피 울며, 사흘 동안 먹지 않고 사흘 만에 죽었다고 합니다. 집안에서는 주인을 따라 죽은 말을 용마(龍馬)로 불렀고 장지산 기슭에 의마총(義馬塚)을 썼습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월곡지 확장으로 수몰되어 못가에 비석을 세웠습니다, 1968년 의마비를 세웠으나, 도시개발로 망실되어 다시 건립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의마총, 의마비

https://blog.daum.net/12977705/8726933

 

월곡 역사공원은 월곡 역사박물관, 야외전시장, 낙동서원, 열락당, 우배선 장군 창의 유적비, 애마비, 파리 장서비가 있는 도심의 작은 공원입니다. 상인역 지근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은 편으로, 특히 서원 배치에 관심 있는 사람은 낙동서원의 강당과 동, 서재가 한 건물에 잇대어 연결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고 독특한 ㄱ字 형 건물을 살펴보길 권합니다.

 

2022.01.26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