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 통일신라
상원사종上院寺鍾,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과 함께 국내에 남아있는 통일신라시대 대표적인 범종 중 하나이다. 용뉴龍鈕와 비천상이 새겨진 위치, 당좌의 모양 등은 통일신라 범종의 전형적인 양식과 같으나 화염보주와 새 꽃무늬 등 새로운 장식은 고려시대로 이어지는 양식적 변화를 보여준다. 이 동종은 청주 운천동 개인주택 공사 도중 우연히 발견되었는데, 흙속에 파묻힌 동종 안에 금고金鼓, 금동보살입상, 향완 등이 함께 묻혀 있었다.
경자(靑銅磬子) 고려
경자는 불교에서 불경佛經을 읽을 때나 의식을 할 때 사용하는 범음구이다. 주로 법당法堂에 매달아 놓거나 경상 위에 두고 나무망치나 노루 뿔 등으로 두드려 소리를 낸다. 반구형半球形으로 두드리는 부위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와 울림 시간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거는 향로(靑銅懸香爐) 고려
거는 향로는 불단 위에 올려놓는 향로와 달리 걸거나 매달 수 있도록 고리가 달려 있다. 몸체가 달걀 모양이나 공 모양으로 둥근 것이 특징이다. 뚜껑에는 연꽃봉오리 모양의 꼭지가 있으며 여의두如意頭 모양의 향 연기 구멍이 있다. 몸체 양옆에 달린 고리에 끼워진 손잡이 끝장식도 연꽃봉오리 모양이다.
‘사뇌사’가 새겨진 금고(思惱寺銘靑銅金鼓) 고려
종(靑銅鍾) 고려
의림사’가 새겨진 금고(義林寺銘靑銅金鼓).사진좌 고려
‘기사’가 새겨진 금고.사진 우 고려
금강령(靑銅金剛鈴) 고려
작은 접시 고려
향완 고려
종 고려
종(靑銅鍾) 고려
종(靑銅鍾) 고려
연꽃봉오리 모양 기와못 장식(白磁連峰裝飾瓦釘) 조선
연꽃무늬 서까래 기와 고려
자물쇠 고려
금강저(靑銅金剛杵) 고려
2019.03,29 |
'충청북도 > 청주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청주박물관 도자기 외 (0) | 2019.04.05 |
---|---|
청주...청주박물관 불보살상 (0) | 2019.04.05 |
청주...청주박물관 불비상 (0) | 2019.04.05 |
청주...청주박물관 영하리사지 석불좌상 (0) | 2019.04.03 |
청주...청주박물관 야외전시장 (0) | 2019.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