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행박물관.
2005년 1월 28일 개관
첫 인연
생각보다 많지 않은 성보가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대부분 수장고에 보관 중일까요?
관심 있는 몇몇 점 사진 올립니다.
용주사는 3번째 답사입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7322
목조 동자상.
조선 후기. 경기 유형문화유산
동자상. 조선 후기
용주사 중종(中鐘). 경기도 유형문화재 1790년
"정상부의 용뉴(龍鈕)에는 두 마리의 쌍용(雙龍)이 완만히 솟은 천판(天板) 위에서 입을 크게 벌려 정면을 응시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양 발의 발톱 주위에는 당좌와 같이 둥근 원형의 연화문을 장식한 점이 독특하다. 여기에 천판 가장자리를 돌아가며 고려시대 후기 범종에서 처음 등장한 연잎을 세워 둥글게 돌아가며 장식한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을 따른 톱니 모양의 장식을 배치한 점에서 한국 전통형 종을 계승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종의 몸체는 위가 좁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외형으로서 몸체 위, 아래에 배치되는 상대(上帶)는 두 줄의 띠로 만든 대신 하대(下帶)의 폭을 좁게 만들었다. 이 여백 면에는 범자문(梵字文)과 연곽(蓮廓), 연곽 사이마다 보살입상(菩薩立像)과 위패형(位牌形)의 문양, 그리고 불규칙한 방형판을 덧댄 명문을 배치하였다. 이 종을 제작한 장인은 윤덕칭(尹德稱), 윤덕흥(尹德興), 윤계원(尹啓元)이며 범종 제작의 총감독 격인 감역(監役)은 당시 용주사 중창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 사일(獅馹) 스님이다.
제작자인 이들 윤씨 일파는 18세기 전반부터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일반 사장 계열의 주종 집단이다. 쌍룡의 용뉴, 위패형 장식 등은 외래형인 중국 종을 따르고 있어 여러 양식이 혼합된 경향을 보인다. 주조도 비교적 좋은 편이며 기록된 명문을 통해 당시 장인들의 주종 활동 및 계보를 살필 수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국가유산청)
발톱 주위에는 당좌와 같이 둥근 원형의 연화문을 장식
중대의 보살입상. 위패형 명문
용주사 홈페이지에는 중종(中鐘)
국가유산층 홈페이지에는 중종(重鐘)으로 표기되어 헷갈립니다.
소대(疎臺)
조선 후기. 경기 문화유산 자료
전패(殿牌)
조선 후기. 경기문화유산 자료
아미타회상도. 안성 운수암. 1873년
畵記(한국사찰문화재. 국가유산청)
大明崇禎紀元後五癸酉閏六月二十八日神 供改金重修觀音尊像一位新畵成彌陁會一部○護 會一部冥府會一部點眼于七月初一日奉安于京 畿左道陽城古聖山雲峀庵仗此勝緣一心奉祝
主上殿下壬子生李氏聖壽万歲
王妃殿下亥辛生閔氏聖壽萬歲
大施主 大院位庚辰生李氏 府大夫人戊寅生閑氏長子乙巳生李氏坤命甲辰生 洪氏女息辛酉生阿只 尙宮乙酉生文氏 尙宮 甲申生金氏
施主秩吳聲善朴體鎭安漍 車岩回車鳳雲車大吉李鳳麟韓鎭鈺鄭八百金三宗李夏弼韓三哲李王鳳金致福
緣化秩
證明大淵萬O
誦呪 混城性淨 比丘道性 比丘大㬳
金魚 比丘等森金谷永煥 模像都嵙匠漢峰瑲淨比丘兢燁 持殿比丘戒信秉法丘啓桓比丘普潤魚山比丘性變 比丘定羲 供司比丘富謙比丘永裕 奉守道軒慧起艶業右舍戒元 都監比丘善還 別坐比丘右弼 鐘頭比丘善蓋檀越韓宗石 林岩回李銀台」金燦華 童子徐悟哲童子韓 壽喆童子卞成石 化主淸信女般若明甲寅張氏
1873년.
경기좌도 양성(안성) 운수암에서 관음존상 개금 하면서 아미타도를 새로 조성하였습니다.
고종과 명성황후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며, 대원군을 비롯 많은 황족과 궁녀들이 대거 시주
금어는 등삼 금곡 영환 등, 도감 선환, 별좌 우필...(해석은 개인적 견해)
안성 운수암(2013년). 옛글에는 조성 시기를 1870년으로 표기하였으나 1873년이 맞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3958
청동향로
조선초기, 경기 유형문화유산
중국에서 조성된 향로, 정조의 하사품
조선왕실에서 사용했던 향로로 추정. 8면에 산수화가 새겨져 있습니다.
금동향로
조선초기, 경기 유형문화유산
중국에서 조성된 향로, 정조의 하사품
각 면은 순금으로 된 덩굴무늬가 있고 뚜껑에도 금장식을 하였습니다.
사곡병풍(四曲屛風). 경기문화유산
김홍도 작품 추정(아니라는 설도 있음). 정조 하사품으로 본래는 8폭으로 추정
부모은중경 변상도. 보물
변상도에는 단원 김홍도(金弘道, 1745~)의 화풍이 고스란히 살아남아 있으며 본문은 당대의 명필이던 오수(寤修) 황운조(黃運祚, 1730~1800) 서풍(書風)의 명품 경판(經版)이다.
2025.03.15
맨 위. 맨 아래 4장은 동호회 라호르 님 사진입니다.
'경기도 > 화성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융.건릉 (0) | 2025.04.18 |
---|---|
화성...융릉 개비자나무 (0) | 2025.04.17 |
화성...화성시 역사박물관 삼층석탑 (0) | 2024.01.17 |
화성...금수사 석조아미타좌상 (0) | 2021.06.07 |
화성...화산 용주사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