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울진군

울진...평해 북천교비

by 임병기(선과) 2022. 11. 1.
728x90
728x90

1603년(선조 36년) 평해군 북쪽 10리 월송변에 沙川이 바닷물과 서로 통해 사시사철 물이 넘쳐 백성들의 일상생활과 상인들의 통행이 어려워, 평해군수 조인징이 구산리에 북천교를 건설 후  그 경과를 기록하기 위하여 세운 비입니다. 세  동강 난 비석을 접합한 흔적이 있으며, 전후면을 고르게 다듬어 글씨를 새겼습니다.

 

"비에 새겨진 글씨는 정연한 행서체이나 간혹 초서를 사용하였다. 글자는 비신 앞면과 뒷면에만 음각하였는데, 앞․뒷면은 물갈이하여 매끄럽게 다듬었다. 명문은 앞면에는 7단으로, 뒷면에는 4단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으며, 일부 보각(補刻) 하기도 하였다. 원래 이 비 앞 7번 국도 안(기성면 구산리 363-13)에 들어가 있었는데, 도로가 나면서 원 위치를 잃었다.

비문의 내용은 조선시대 당시 모래하천이 바닷물과 가까워 늘 물이 넘쳐 백성들의 통행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주민들이 생활의 불편함이 없애기 위해 평해군수 조인징의 허락을 얻어 돌다리를 만들고 이를 기념하여 비를 세우게 된다는 건립 경위와 건립 시기, 공대주, 석수, 대시주와 공양주, 별좌, 화주 등 다리를 만드는데 참여한 총 100명(군수 포함 101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특히 권끝쇠, 광큰버들쇠 등 글자만 보아도 당시 천민계층이었을 사람들의 이름이 한자 그대로 적혀있다.

 

이 비의 기록으로 보아 지금의 황보천(黃堡川)이 당시의 북천(北川)이며, 지금의 군무교(軍舞橋)가 있는 부근이 당시의 북천교(北川橋) 위치임을 알 수 있다. 입비 시기는 1603년(선조 36) 3월로 이 비에 보이는 평해군수 조인징은 1599년(선조 32) 2월 16일에 부임하여 1603년 3월 13일 철원 부사로 이임해 갔으므로 그가 평해를 떠나기 직전에 비를 세운 것으로 판단된다. 이 비를 통해서 17세기 초 평해 지역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에 새겨진 사람들의 이름이 당시의 발음에 맞추어 한자로 기록된 점은 국어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국립 문화재연구원)

 

전면

"平海郡北十里越松邊/ 有一沙川海水相近/ 四時漲溢大小/ 使行商旅難通公私俱弊/郡守趙公仁徵 許鄕論/ 成石橋大小往來無滯/ 同叅施主石銘/ 于後/ 萬曆三十一年三月 日/ 供大主 金洪水 石手 黃從伊

大施主/ 金應上/ ▨興水/ 孫古音山/ 莫 只/ 趙儉失/ 李洪水/ 李彦亨/ 孫順亨/ 金漢田/ 金溫 黃守海/ 韓五十同/ 孫彦亨/ 金㗟石/ 木州汲連/ 朴衆成/ 李㗟沙里/ 金年/ 黃百㱓/ 黃彦已/ 孫忠年/ 黃月如/ 金 山/ 全 岩/ 朴龍山/ 金有礼/ 李春乎/ 黃▨▨/ 林秀▨/ 金莻孫/ 李成▨/ 金莻▨/ 灵▨▨/ 徐奉▨/ 黃仁▨/ 金甘石/ 金无音石/ 金石彦/ 林順石/ ▨▨汲/ 崔文哲/吳九化/ 黃唜丁/ 溫己成/ ▨▨丁/ 林唜同/ 孫彦付/ 金彦年/ 金石中/ 黃仁敏/ 德 介/ 浚 伊/ 莻 金/ 李叱介之/ 金是石/ 鄭莫同/ 朴▨山/ 奉奉/ 金德介/ 朴叱▨▨/ 金守廻/ 李衍厚/ 金汶同/ 金春曷/ 陳▨万/ 金克/ 進 卜/ 黃㗟同/ 朴 必/ 徐尙同/ 林連卜/

 

평해군 북쪽 10리 월송 변에 모래하천(沙川)이 있는데 바닷물과 가까이 있어 늘 물이 넘쳤다. 크고 작은 일로 사람을 보낼 때나 장사꾼과 여행객들이 통과하기 어려워 공과 사적인 일들이 모두 해롭게 되었다. 군수 조인징이 향론을 허락하여 돌다리를 세우니 지체가 높거나 낮은 이가 왕래함에 막힘이 없어졌다. 함께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빗돌에 새겨 남긴다.

만력 31년(1603) 3월 일. 공대주 : 김홍수 석수 : 황종이 대시주 : 김응상, ▨흥수, 손고음산, 막지, 조검실, 이홍수, 이언형, 손순형, 김한전, 김온/ 황수해, 한오십동, 손언형, 김줏석(김줏돌), 권급연, 박중성, 이줏사리, 김년, 황백령, 황언이, 손충년, 황월여/ 김산, 전암(전바우), 박용산, 김유례, 이춘호, 황▨▨, 임수▨, 김늦손, 이성▨, 김늦▨, 영▨▨/ 서봉▨, 황인▨, 김감석(김감돌), 김무음석(김묵돌), 김석언, 임순석(임순돌), ▨▨급, 최문철, 오구화, 황말정(황끝쩡), 온기성, ▨▨정/ 임말동(임늦똥), 손언부, 김언년, 김석중, 황인민, 덕개, 준이, 말금(늦끄미), 이질개지, 김시석, 정막동(정막똥), 박▨산/ 봉봉, 김덕개, 박질▨▨, 김수회, 이연후, 김문동, 김춘▨, 진만, 김극, 진복, 황줏동(황줏똥), 박필, 서상동, 임연복"

 

김감돌, 김묵돌, 황끝정, 늦끄미, 이질개지, 정막똥...

천민 계층의 사람들도 공사에 참여하였음을 보여줍니다.

 

도로 개설로 인해 다른 곳에서 이곳으로 이건 하였습니다

방형 기단, 장방형 비신, 반월형 비수

세 동강 난 흔적

전후면만 치석, 측면은 거칠게 마무리했습니다.

 

후면

黃彦仃/ 黃尹容/ 黃良守/ 黃▨石/ 黃巳年/ 黃▨付/ 黃世右/ 金 唏/ 黃世了/ 金汗會/ 全甬只/ 了 玄/ 木州唜金/ 廣大柳金/ 黃乭岩/ 全忠亻又/ 黃眞厚/ 黃彦香/ 黃▨江/ 黃錦守/黃永守/ 供養主/ 亦 悟/ 太 云/ 龍守/ 別坐 太 仁/ 正 ▨/ 化主 洪 信

 

황언정, 황윤용, 황양수, 황▨석, 황사년, 황▨부, 황세우, 김희, 황세료/ 김한회, 전용지, 료현/ 권말금(권끝쇠), 광대류금(광큰버들쇠), 황돌암(황돌바우), 전충부, 황진후, 황언향, 황▨강, 황금수, 황영수/ 공양주 : 역오, 태운, 용수 별좌 : 태인, 정▨ 화주 : 홍신

 

 木州唜金/ 廣大柳金/ 黃乭岩

흥미로운 한자 표기입니다.

 

供養主/ 亦 悟/ 太 云/ 龍守/ 別坐 太 仁/ 正 ▨/ 化主 洪 信/

스님들도 참여하였음을 보여줍니다.

 

우리나라의 옛다리와 석교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33

 

저 어디쯤일까요?

500여 년 전 그 장소가...

 

2022.10.16

 

***금석문 원문과 해석은 극립문화재연구원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728x90

'경상북도 > 울진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진...광흥사 부도전  (0) 2022.11.02
울진...배잠사지 당간지주  (0) 2022.10.31
울진...구산리 삼층석탑  (0) 2022.10.30
울진...소광리 황장봉계 표석  (0) 2020.11.27
울진...삼달리(신래) 태실  (0) 202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