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대구시

대구...동화사 도학동 승탑(부도)

임병기(선과) 2022. 1. 9. 06:49
728x90

금당선원 입구에 위치

동화사 아래 도학동 내학마을에서 이건한 승탑이라고 전합니다.

 

도학동 승탑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 탑신석, 옥개석, 상륜을 갖춘 고려 전기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팔각원당형 부도입니다

 

기단부

 

하대석

방형의 지대석 겸 하대 저석 위에 각호각 3단굄에는 내림마루를 새겼습니다.

중석에는 4개 안상을 면마다 표현하였으며, 갑석은 평평합니다

 

중대석

팔각원당형 중대석 아래에는 각호각 3단 굄을 조출하였습니다

 

상대석

하부에는 1단 굄이 있으며, 간엽과 연잎을 높게  새겨 상부에 연지를 만들었습니다

연지위에는 2단 굄을 두었으며, 탑신 아래에도 2단 굄을 마련했습니다

 

기단부(2)

 

탑신석

팔각 탑신에는 기둥과 창방을 새겼습니다

 

옥개석

팔강 옥개석의 내림마마루를 높게 올렸으며, 귀꽃은 훼손되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상부에 2단 굄을 올렸고, 상륜부에는 2개 앙화(?)가 있으나, 위의 부재는 후보물 느낌입니다.

 

도학동 승탑

탑신석에 주인공을 새기지 않았으나, 유존하는 자료에 의하면 고려초기 동화사 중창주인 홍진국시 혜영대사 승탑으로 회자됩니다.

 

홍진국사 혜영(弘眞國師 惠永.1228년~1294년)

문경 출신 속성은 강(姜). 휘(諱)는 혜영, 아버지는 내원승 겸 직한림원 자원(子元), 어머니는 호부시랑 충사관 인연(仁衍)의 달 홍씨입니다. 11세에 출가하였으며, 1292년 국존(國尊)으로 봉해졌으며, 보자(普慈) 법호를 받고 동화사 주지에 임명되었다고 되었습니다. 1298년에 동화사에 탑비가 세워졌습니다. 비편 몇 점 만이 전하며, 1795년 영의정 김재로가 탁본한 비문이 '금석집첩' 실려있으며, 현재 일본 교토대학에 소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비문과 해석. 사진은 안동김씨 대종회 홈페이지에 실려 있습니다)

 

홍진국존진응탑비(弘眞國尊眞應塔碑)

김훤(1234~1305) 찬, 글씨는 김순(1258~1321) 글씨

 

弘眞國尊碑銘(篆 題)」

高麗國大瑜伽桐華寺住持五敎都僧統普慈國尊贈諡弘眞碑銘幷序」
       奉翊大夫副知密直司事國學大司成文翰學士臣金晅奉敎撰」
       正議大夫密直司左承旨判秘書寺事文翰學士充史館修撰官知
       制誥臣金恂奉敎書」
       門人桐華寺住持深智洞解五明大師孝楨立碑」
師諱惠永俗姓康氏聞慶郡人也考內園丞兼直翰林院諱子元妣洪氏朝散大夫戶部侍郎充史館修撰官仁衍女也師生於戊」
子歲年至十一投首座冲淵堂下剃髮于南白月寺十七中王輪寺選佛場初住興德寺己未歲批授三重大師仍爲乙丑選座」
主中統癸亥加首座至元四年移住俗離寺己巳加僧統卒中賛柳公璥請釋白衣禮懴師旁引經文撰解一巻傳爲龜鑑甲戌移」
住佛國寺丙子到通度寺乞得舍利數枚常置左右復分身多矣每有乞之者輙與之亦不減數是年移住重興寺命留京輦凡九」
年甞獻詩乞退云戀君可忍辭金闕臨老長懷漱石泉日月瞻光無遠邇願歸林下祝高年乙酉移住瑜伽寺庚寅領寫經僧衆一」
百員到 大元國大都以金字法華經爲贄拜見」
世祖皇帝特承勞慰寓慶壽寺厲衆嚴肅無不敬服一日萬安寺堂頭以種種幢盖莊嚴道場請師講仁王經師陞座演說快若懸河」
四衆景仰如見佛日至翌年以金泥寫大藏經事畢」
帝乃嘉之賜遺甚厚遣使伴還本國師之顯美於 大國爲所敬重如是曾賈勇於自家射工穿葉又游心於諸法理入忘筌壬辰」
上欲封師爲國尊命近侍內衣直長閔頔往迎於瑜伽寺師愕然不悅意欲避之緣督强起十月入京師 上命大將軍黃元吉持」
內馬出天壽寺迎入崇敎寺別院二十二日册爲國尊法號普慈二十六日於壽寧殿上率群臣行納拜之禮又加五敎都僧統」
命住桐華寺癸巳 三殿朝覲請師駐錫成道寺主法至元三十一年正月十九日師示微恙會下明德問疾師云但飮食不調且」
對衆從容談笑自若至二十四日寅末喚侍者修遺書封印付囑行李別監崔洪旦振身端坐擧揚華嚴經十地品俄頃泊然而逝」
色貌鮮白三日不改大地遍白二月初二日茶毗于龍首山南岡拾靈骨立塔於桐華寺享年六十七法臘五十六時」
上適赴會同朝在上都覽遺書震悼贈諡弘眞塔號眞應師天禀秀拔聦敏過人慈悲爲體矜恕爲心嚴毅寡辭慢無彼此但隨處講授後進爲業嗚呼眞一國所尊之法王也其平生德感靈應不爲不多皆眞境細事又恐落於怪誕此不具載門人金山寺住」
持僧統孝楨等瀝哀悰而淚滴重泉呈行狀而情陳九闥欲傳鴻迹請立龜趺爰命小臣俾揚景行於不朽第虞淺藝具述眞猷之」
未當然有勅義不辭難斯强顔撰之以實銘曰
衆生差別 妄見生滅 覺雄出現 隨機演說 權實頓漸 同軌殊轍 慈恩奧旨 尤難析理 慈氏傳之 無著得體」
奬基宣布 洎于東土 哲人相繼 稱爲八祖 師其嫡嗣 不愧於古 道彌輿蓋 學通內外 福利無窮 邦家所賴」
以仁接物 去華取實 匿己之長 護人之失 隨處弘眞 學者咸歸 惟德是依 禮展摳衣 强膺厥命 位是心非」
眞風大扇 佛日增輝 預識其時 示寂如怡 天容亦慘 物色含悲
 大德二年十月 日」

〔출전 : 『韓國金石全文』 中世下(1984)〕

홍진국존비명(弘眞國尊碑銘) [전액(篆額)]

고려국(高麗國) 대유가(大瑜伽) 동화사(桐華寺) 주지(住持) 오교도승통(五敎都僧統) 보자국존(普慈國尊) 증시홍진비명(贈諡弘眞碑銘)과 아울러 그 서문(序文)
봉익대부(奉翊大夫)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문한학사(文翰學士) 신(臣) 김훤(金晅)이 왕명을 받들어 비문을 짓고
정의대부(正議大夫) 밀직사(密直司) 좌승지(左承旨) 판비서시사(判秘書寺事) 문한학사(文翰學士) 충사관(充史館) 수찬관(修撰官) 지제고(知制誥) 신(臣) 김순(金恂)은 교지(敎旨)에 따라 비문을 쓰고
문인(門人)이며 동화사 주지인 심지동해(深智洞解) 오명대사(五明大師) 효정(孝楨)은 입비공사(立碑工事)를 맡아 보았다.
스님의 휘는 혜영(惠永)이고, 속성은 강씨(康氏)니, 경상북도 문경군(聞慶郡) 출신이다. 아버지는 내원승(內園丞)에 직한림원(直翰林院)을 겸임하였는데, 휘는 자원(子元)이다. 어머니는 홍씨(洪氏)니 조산대부(朝散大夫)이며 호부시랑(戶部侍郞) 충사관(充史館) 수찬관(修撰官)인 인연(仁衍)의 딸이다. 스님은 무자세(戊子歲)에 탄생하였다. 11살 때 충연수좌(冲淵首座)의 당하(堂下)를 찾아가서 있다가 남백월사(南白月寺)에서 삭발하고 스님이 되었다. 그 후 17살 때 왕륜사(王輪寺) 선불장(選佛場)에서 승과(僧科)에 합격하고, 처음으로 흥덕사(興德寺)에 머물렀다. 기미세(己未歲)에 삼중대사(三重大師)의 법계를 받았으며, 을축년(乙丑年)에는 좌주(座主)에 선출(選出)되었다. 중통(中統) 계해년(癸亥年)에 이르러서는 수좌(首座)의 법계를 첨가(添加)받았으며, 지원(至元) 4년에는 보은 속리사(俗離寺)로 이주(移住)하였고, 기사년(己巳年)에는 승통직(僧統職)에 올랐으며, 중찬(中贊)유경(柳璥)이 국사에게 백의예참(白衣禮懺)을 주석해 줄 것을 요청하므로, 국사는 여러 경문(經文)을 인용 참고하여『白衣禮懺解』1권을 찬술하였는데, 후세에 전하여 귀감이 되었다.
갑술년(甲戌年)에는 불국사(佛國寺)로 옮겨갔으며, 병자년(丙子年)에 양산 통도사(通度寺)로 가서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 몇과를 기도 끝에 얻어서 항상 좌우에 모시고 있었는데, 다시 그 사리가 분신(分身)하여 여러 개가 되었다. 수시로 누구나 모시기를 원하는 사람이 있으면, 아무리 나누어주어도 또한 그 본래의 수효는 전혀 줄어들지 아니하였다. 이 해에 다시 중흥사(重興寺)로 이주하였는데, 왕이 경련(京輦)으로 초빙하여 개성에서 9년간 주석하고 산중(山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을 비는 다음과 같은 걸퇴시(乞退詩)를 지어 바쳤다.
님을 위해 참고 참아 축리(祝釐)했으니
산중(山中)으로 돌아가서 침수(枕漱)하면서
해와 달이 원근차별(遠近差別) 없는 것 같이
임하(林下)에서 님을 위해 기도하리다.
을유년(乙酉年)에는 유가사(瑜伽寺)로 옮겼다가, 경인년(庚寅年)에 이르러 사경승(寫經僧) 일백명(一百名)을 거느리고 대원국(大元國)의 대도(大都)에 가서 금자(金字) 법화경(法華經)을 사경하여 선물로 올리자 세조황제(世祖皇帝)가 크게 기뻐하면서 그 노고를 치하하고, 경수사(慶壽寺)에 머물게 하였다. 이 때 국사께서 대중 지도를 엄숙히 하여 모범을 보였더니, 모두 경복(敬服)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또 어느 날 만안사(萬安寺)의 당두(堂頭)가 여러 가지 깃발·일산·의장(儀仗)·당(幢)·다라니(陀羅尼) 등으로 도량을 장엄하고, 국사로 하여금『인왕경(仁王經)』을 강설해 주기를 청하였다. 국사께서 사양하다가 마지 못하여 법상(法床)에 올라 연설(演說)하시니 그 명쾌함이 마치 현하(懸河)의 변재(辯才)와 같았다. 청법한 사부 대중들은 크게 앙모(仰慕)하여 마치 부처님을 친견하는 것과 같이 기뻐하였다. 그 다음 해에 이르러 금니(金泥)로 대장경(大藏經)을 쓰는 사경 불사를 마치니, 세조(世祖)가 크게 가상히 여겨 귀하고 소중한 많은 선물을 하사(下賜)하고,사신(使臣)을 보내어 국사의 귀국 길에 동반하여 호송케 하였다. 국사께서 두드러진 아름다움을 대국(大國)에 선양하여 이와 같은 존경을 받았다. 일찍이 국사는 더욱 힘찬 용기를 자신에게서 얻어 마치 사공(射工)벌레가 풀잎을 갉아 먹는 것과 같이 일이 순조로웠고, 또 항상 마음을 교법(敎法) 연구에 몰두하여 마침내 이입망전(理入忘筌)의 경지에 이르게 하였다.
임진년(壬辰年)에 임금께서 스님을 국존(國尊)으로 책봉하고자 근시(近侍)인 내의(內議)직장(直長) 민적(閔頔)에 명하여 스님을 유가사(瑜伽寺)로 영접하니, 스님께서는 깜짝 놀라 국존 추대를 싫어하여 마음으로 이를 피하여 도망하려 했다. 그러나 왕도 물러서지 않고 연독(緣督)에 맞추면서 억지로 추대하려 하였다.10월에 경사(京師)에 들어가니, 임금께서 대장군(大將軍) 황원길(黃元吉)에게 명하여 내마(內馬)를 가지고 천수사(天壽寺)로 가서 국존을 숭교사(崇敎寺) 별원(別院)으로 영입하고, 22일 국존으로 모시는 책봉식(冊封式)을 거행하였으니, 법호는 보자(普慈)이시다. 그리고 26일 수녕전(壽寧殿)에서 임금께서 군신(群臣)들을 거느리고 국존의 직인을 드리는 납배(納拜)의 예를 행하고, 또 이어서 오교도승통직(五敎都僧統職)을 제수(除授)하고, 동화사 주지로 임명하였다. 계사년(癸巳年)에 삼전(三殿)을 찾아 배알(拜謁)하였더니, 스님을 청하여 성도사(成道寺) 주법(主法)으로 추대하였다.
지원(至元) 31년 1월 19일 스님께서 가벼운 병을 보였다. 회하(會下)에 있는 명덕(明德)이라는 스님이 국존에게 병세를 물으니, 국존께서 이르시기를 "다만 음식의 소화가 잘 안될 뿐이다" 라 하였다. 또 대중(大衆)을 상대함이 종용(從容)하며 담소(談笑)도 자약(自若)하였다. 24일 연시(寅時) 말(末)에 시자(侍者)를 불러 유서(遺書)와 직인을 함께 봉하게 하고, 행이(行李)별감(別監)인 최홍단(崔洪旦)에게 부탁하여 임금님께 전하도록 하고는 단정히 앉아『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십지품(十地品)을 거양(擧揚)한 다음, 조금 있다가 조용히 입적하였다. 얼굴 빛과 모양이 선백(鮮白)하여 3일 동안 조금도 변하지 아니하였으며, 대지(大地)는 눈으로 덮혀 백은색(白銀色)이었다. 2월 2일 용수산(龍首山) 남쪽 산기슭에서 화장하여 영골(靈骨)을 수습하고 탑은 동화사(桐華寺)에 세웠다. 세수는 67세요, 법랍은 56하였다. 이 때 충렬왕은 원(元)나라 세조(世祖)를 만나기 위하여 원의 서울인 상도(上都)에 있었으므로, 그곳에서 국존의 유서(遺書)와 부음(訃音)을 받아 보시고, 크게 진도(震悼)하시어 시호를 홍진(弘眞), 탑호(塔號)를 진응(眞應)이라 추증하였다.
국존께서는 천품(天禀)이 수특(秀特)하여 총명과 재주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자비로써 몸을 삼고 긍서(矜恕)로써 마음을 삼았을 뿐아니라, 엄격하고 강직하여 과묵(寡默)하며 피차(彼此)에 대하여 전혀 교만한 마음이 없었고, 다만 어디에 있던 후진(後進)에게 강수(講授)하는 것으로 업을 삼았다. 슬프도다! 참으로 일국(一國)에서 가장 존경할 만한 법왕(法王)이시다. 국존께서 평생동안 도덕으로 말미암아 감득(感得)하신 영험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는 모두 진리의 세계에서는 세세한 말변사(末邊事)에 속하는 것이며, 또 보는 사람들이 괴이(怪異)하고 허탄하게 여길까 염려되어 이 비문에는 모두 기록해 두지 않는다. 문인(門人)으로 금산사 주지이며 승통(僧統)인 효정(孝楨)등이 창자가 끊어지는 듯한 애종(哀悰)으로 떨어지는 눈물이 깊은 샘을 채웠다. 스님의 행장(行狀)을 모아 구달(九闥)에 진정하여, 위대한 홍적(鴻迹)을 길이 후세에 전하고자 귀부(龜趺)를 세우도록 허락을 청하였으므로, 임금님께서 소신(小臣)에게 명하여 스님의 경행(景行)을 돌에 새겨 크게 천양토록 하라 하였으나, 다만 학예(學藝)가 천박하여 스님의 참된 자취를 구술(具述)할 능력이 부족함을 염려하였다. 그러나 임금께서 내리신 조칙(詔勅)을 끝내 사양할 길이 없어서 뻔뻔한 얼굴을 무릅쓰고 사실대로 명(銘)하여 이르기를
중생근기(衆生根機) 상중하(上中下)로 차별이 없고
허망하게 분별(分別)하여 생멸(生滅)하나니
각웅(覺雄)께서 이를 위해 출현(出現)하시어
근기(根機)따라 연설하여 제도하도다. ①
권실교(權實敎)와 돈점교(頓漸敎) 등 8교(八敎)를 설(說)해
일법(一法)에서 흘러나와 달라졌도다.
자은종(慈恩宗)의 법상종지(法相宗旨) 자씨(慈氏)가 시조(始祖)
오묘하온 그 진리(眞理)는 알기 어렵네! ②
최초에는 자씨보살(慈氏菩薩) 전해 주었고
무저보살(無著菩薩) 연구하여 골수(骨髓)를 얻고
현장사(玄奘師)와 규기(窺基)스님 널리 폈으며
우리 나라 동국(東國)까지 전하여 왔네! ③
철인(哲人)들이 상속(相續) 출현(出現) 계승하면서
우리 스님 전해받아 팔조(八祖)가 되다.
국존(國尊)께선 그 법통(法統)을 이어받아서
옛 스님과 비교해도 부끄럼 없네! ④
위대하신 그 도덕(道德)은 천하(天下)에 가득
정통(精通)하온 그 학문은 내외를 망라(網羅)
중생들을 이익(利益)함이 무궁(無窮)하오며
군신상하(君臣上下) 모든 국민 의지하였다. ⑤
인자(仁慈)하신 마음으로 도와주시니
모든 사치(奢侈) 추방하고 진실(眞實)만 갖다.
자신에게 엄격하여 겸손하옵고
다른 사람 잘못함은 관용(寬容)하도다. ⑥
있는 곳엔 어디든지 불교를 펴니
사방(四方)에서 학자들이 모여들도다.
일거일동(一擧一動) 모든 것이 덕행(德行)뿐이니
모든 사람 구의(摳衣)하여 예배하도다. ⑦
국존으로 추대됨은 자의(自意) 아니니
임금님은 옳다 해도 자신은 싫어
법상종풍(法相宗風) 크게 불어 천양(闡揚)하시니
말세(末世) 중에 영산회상(靈山會上) 재현(再現)함이여! ⑧
수일(數日) 후의 입적(入寂) 시(時)를 미리 알아서
종용(從容)하고 자약(自若)하여 온화(溫和)하시니
하늘까지 무심(無心)찮아 참담(慘憺)하오며
삼라만상(森羅萬象) 물색(物色)들도 슬퍼하도다. ⑨
대덕(大德) 2년 10월 일

2021.12.15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