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임병기(선과) 2025. 2. 23. 09:06
300x250
300x250

보제존자 사리탑. 보물

원주 영천사에 조성했던 보제존자 사리탑으로 1388년(우왕 14)에 조성하였으며, 1915년 경복궁으로 반출 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건 하였습니다. 탑을 옮길 당시에 각 각의 탑에서 사리 장치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 한 탑에서 지석(誌石)이 발견되어  탑을 세우게 된 과정을 알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보제존자 사리탑은 입적한 여주 신륵사와 양주 회암사지, 문경 묘적암에도 남아 있습니다.

여주 신륵사(1)

https://12977705.tistory.com/8728088

여주 신륵사(2)

https://12977705.tistory.com/8728089

양주 회암사지(1)

https://12977705.tistory.com/8723323

양주 회암사지(2)

https://12977705.tistory.com/8723324

문경 묘적암

https://12977705.tistory.com/8725273

경복궁 반출 전 원주 영천사지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지정명칭은 영전사이나 현재는 영천사지에서 옮겨온 것으로 확인됩니다.

서탑(임의 분류)

2층기단. 삼층석탑. 옛 사진과 비교하면 상륜부에 부재 2개가 사라지고 없습니다.

기단부

지대석

하층기단

감입식 결구. 저석. 중석. 갑석 일석이며, 중석의 탱주 1주. 우주 모각. 갑석에는 약간의 물매, 호각 2단 탑신괴임 조출

상층기단

중석 엇물림 결구. 탱주 1주, 우주 모각. 갑석 낙수면 물매, 호각 2단 탑신굄. 하면 부연 조출. 2단 별석 탑신괴임이 있습니다.

탑신부. 상륜부

탑신석, 옥개석 1석

탑신석에는 우주 모각, 옥개석 낙수면 물매 급하지 않으며 하면 4단 층급받침. 상면 1단 각형 받침 조출, 초층옥개석은 2.3층 옥개석에 비해 평박하고 층급받침이 얇습니다.

상륜부. 3층 옥개석 위에 1단 받침은 망실된 노반석 받침이며, 복발과 보병 형태의 부재만 남아 있습니다.

서탑

동탑(임의 분류)

상륜부만 제외하고 서탑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

상륜부에는 노반석과 보륜, 보주가 남아 있습니다.

동탑

"출토된 현 동탑 사리장엄구에 시주자 ‘원룡(元龍)’의 이름이, 현 서탑 유물에서는 ‘시주 원로(元老)’, ‘시주 원씨(元氏)’가 새겨져 있다. 그리고 납석제 지석 앞뒤 면에는 도인(道人) 각수(覺修)가 왕사 보제존자의 사리 1과를 주탑(主塔)에, 비구니 묘관(妙寬)은 보제존자 사리 1과를 동탑에 봉안한다는 내용과 함께 공덕주들, 석수와 노야(爐冶) 등의 장인들의 이름과 홍무 21년(1388) 무진 4월에 목사(牧使) 강은(姜隱)이 이를 기록하였음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1388년에 동, 서 쌍탑의 불탑 형태로 조성되어 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여주 신륵사, 양주 회암사지, 문경 묘적암 사리는 승탑으로 조성된 것에 비하여 영천사지에 조성된 사리는 쌍탑 형태로 봉안되었습니다. 또한 두 탑은 상륜부와 기단부의 일부 차이가 있으며,  특히 서탑의 초층 옥개석이 2.3층 옥개석보다 얇아 후대에 보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2025.01.18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