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제주

제주...항파두리 항몽 유적지

임병기(선과) 2021. 12. 22. 16:33
300x250
300x250

외손녀랑 딸 내외는 공룡랜드로 보내고 마누라와  항몽 유적지 토성을 크게 한 바퀴 돌았습니다.

걷기 좋아하는 둘이 토성을 독차지하며 탐라의 겨울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항파두리 항몽 유적지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은 13세기 말엽(1271~1273) 원나라 침략에 맞서 끝까지 항거한 고려 무인의 정서가 서린 삼별초군의 마지막 보루였던 곳이다.

 

일찍이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거의 정복한 원나라(몽골)는 고종 18년(1231)부터 30년간 7차에 걸쳐 고려를 침략해왔다. 이에 고려 조정은 강도(강화도)를 임시 왕도로 하여 그 국력의 수십 배나 되는 강대한 침략군을 상대로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원종 11년(1270) 6월 군사를 규합하여 대몽항전을 결의하였다. 이때 중심이 되었던 군사가 '삼별초군'이었다.

이후 삼별초군은 남하하여 진도의 용장성을 근거지로 항전하였으나, 원나라 세력에 의해 원종 12년(1271) 진도가 함락되고 배중손 장군이 전사하게 되자 김통정 장군이 잔여 부대를 이끌고 탐라(제주)에 들어와, 그들은 이곳 항파두리에 토성을 쌓고 계속 항전하면서 기세를 올렸으나, 결국 원종 14년(1273) 1만 2천여 명에 달하는 여ㆍ몽 연합군의 총공격을 받아 항파두성이 함락되고 삼별초 군사들은 전원 순의 하였다.

 

이로써 공민왕 23년(1374) 최영 장군에 의해 몽고인들이 제주에서 완전 토벌될 때까지 100여 년 동안 원나라의 직할지로, 일본과 남송 공략을 위한 전략기지로 이용되면서 제주도민은 이루 형용할 수 없는 고초를 겪었다.
따라서 당시 세계 강대국이었던 원나라와 맞서 끝까지 항쟁을 벌인 고려 무인의 드높은 기상과 자주 호국의 결의를 오늘날 후손들에게 보여주고자 정부에서는 이곳 삼별초 유적지를 사적 제396호로 지정(1997.4.18)하여 1978년부터 연차 사업으로 계속 복원ㆍ정비해 나가고 있다."(항몽 유적지 홈페이지)

 

항몽순의비(抗蒙殉義碑)는 박정희 대통령 글씨입니다

토성

복원된 외성은 약 4KM에 이르며, 집사람과는 2/3(?) 지점에서 데크를 통하여 원점 회귀하였습니다

 

제주 여행

시간이 여유롭다면 꼭 추천하고 싶습니다.

2021.12.04

300x250
300x250